티스토리 뷰
청년도약계좌 신청은 2023년 6월부터 가능합니다. 10분만 확인하여 신청한다면 최대 5,000만 원 가까운 금액을 수령할 수 있으니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란
가입조건에 해당되는 청년층이 5년 동안 적금을 통하여 최대 5,000만 원 가까운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정부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.
청년도약 계좌 혜택
- 납입기간: 5년
- 월 납입금액: 40만 원 - 70만 원
- 정부지원금: 납입금액의 3-6%
- 이자: 비과세, 3년 금리 및 2년 변동금리 적용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1. 만 19세 - 34세 청년 (2023년 기준 88년생 ~ 04년생까지)
2. 개인소득 총급여가 6,000만 원 이하
3. 가구소득 중위소득의 180% 이하
4. 근로 혹은 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
> 4대 보험 가입이 되어 있다면 아르바이트도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만 19세에서 34세이지만 군복무에 따라서 최대 만 36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.
또한, 개인 소득은 6,000만 원이 넘어서는 안되며, 가구소득 중위 소득의 기준은 180% 이하입니다.
2023년 기준으로 1인 가구 중위소득의 180%는 월 374만 206원이며, 2인 가구 중위소득의 180%는 622만 1079원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3년 6월 - 2023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 신청은 비대면으로 진행됩니다.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신청자 지원을 받습니다.
매월 2주간 신청자 모집을 하고 접수한 후에는 약 2주 간 심사 후에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가능한지 알려줍니다.
또한, 5년이 만기이기 때문에 매 년 개인소득의 자격이 유지되는지 확인을 합니다. 매 년 심사 결과에 따라서 정부기여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<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>
<청년도약 계좌 만기 시 수령액>
주의사항 및 팁!
1.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주의사항은 반드시 5년 간 적금을 들어야 하며, 만약 중간에 해지할 경우에는 적금을 들면서 감면받았던 세금을 다시 반환하셔야 합니다.
2. 개인소득이 높다면 최대 납입한도인 70만 원으로 납부하는 것이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.
금리를 5% 기준으로 70만 원을 납부한다면 무려 5,000만 원에 가까운 48,597,500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3. 개인소득이 2400만 원에서 3600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정부 기여금 한도에 맞춰 납입하는 것이 가장 큰 이드글 볼 수 있습니다.
'정부지원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TX 경로우대할인 주말 제외된 이유와 다른 할인 알아보자 (0) | 2023.11.15 |
---|---|
노인 틀니 임플란트 지원 방법 총정리 (0) | 2023.04.09 |
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방법 (재발급 포함) (0) | 2023.03.12 |
2023년 청년 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 (0) | 2023.03.04 |
2월 축제 가볼만한 곳과 일정 알아보자 (0) | 2023.02.03 |